법률행정

형사 고소장 반려 사유 | 고소장 접수 거부되는 주요 이유 정리

그린리프2 2025. 6. 25. 01:11

형사 고소장 반려 사유 | 고소장 접수 거부되는 주요 이유 정리

형사 고소를 접수했지만 고소장이 반려되는 사례는 생각보다 빈번하게 발생합니다. 고소는 법적 권리이지만, 절차와 요건을 제대로 갖추지 않으면 고소 자체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형사 고소장이 반려되는 대표 사유, 접수 전 체크리스트, 반려 후 대처법 등을 정리하여 실무적으로 유의할 점을 안내합니다.


1. 고소장 반려란?

  • 고소장을 제출했으나, 수사기관이 요건 미비나 절차적 사유로 접수를 거부하는 것
  • '반려'는 고소 자체가 성립되지 않았다는 의미이며, 수사 개시와 무관함
  • 통지 없이 반려되는 경우도 있어 접수 이후 반드시 접수증 또는 사건번호 확인 필수

2. 고소장 반려의 주요 사유

사유 설명
관할권 없음 고소 대상자의 주소지, 범죄 발생지 등 관할이 다른 경우
명확한 범죄사실 기재 누락 범죄 시점, 장소, 방법 등 구체적 사실이 불분명한 경우
증거자료 부족 진술만 있고 관련 증빙이 전혀 없는 경우
고소요건 미충족 반의사불벌죄 등 고소 자격이나 기한 요건 위반
개인정보 누락 고소인·피고소인 정보 불완전 (주민번호, 주소 등)

3. 고소장 작성 시 유의사항

  • 범죄사실을 연·월·일, 장소, 구체적 행위로 기재
  • 주장하는 사실에 대한 객관적 증거자료 첨부 (녹취, 문자, 계좌 등)
  • 피고소인 정보는 최대한 상세히 명기 (이름, 전화번호, 직장 등)
  • 고소취지에 형법 조문을 적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해당 범죄유형을 명확히 기술
  • 중복 고소 여부 확인 및 동일 사안으로 이미 수사 중인지 확인 필요

4. 고소장 반려 후 대응 방법

  • 반려 사유를 수사기관으로부터 구두 또는 서면으로 확인
  • 부족한 항목을 보완하여 다시 접수 가능 (보완접수)
  • 관할 문제인 경우 관할 기관에 재접수
  • 내용 보강이 어려운 경우 진술서 첨부 또는 고소취하 후 재작성도 고려

결론

형사 고소를 통해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해서는, 고소장의 형식과 내용, 요건을 충실히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 단순한 감정의 표현이나 불완전한 정보는 고소장 반려로 이어질 수 있으며, 이로 인해 사건 처리 지연 또는 권리 행사 자체가 무산될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고소장 제출 전에는 구체적 범죄사실 정리, 증거 확보, 관할 확인 등 실무 준비를 철저히 하고, 필요시 법률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반려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응 방법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