법률행정

위헌법률심판 청구 절차 | 기본권 침해 소송 중 위헌 여부 다투는 방

그린리프2 2025. 5. 14. 01:35

위헌법률심판 청구 절차 | 기본권 침해 소송 중 위헌 여부 다투는 방법 안내

법률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판단될 경우, 당사자는 위헌법률심판을 통해 헌법재판소에 해당 법률의 위헌 여부 판단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 이 제도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헌법상의 권리이며, 주로 재판 중 해당 법률 조항이 위헌 소지가 있을 때 법원을 통해 청구가 이루어집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위헌법률심판의 개념, 청구 요건, 신청 절차, 헌법재판소의 판단 기준과 실제 사례를 정리해 안내드립니다.


1. 위헌법률심판이란? 📘

  • 법원이 적용할 법률이 헌법에 위반된다고 판단될 경우, 그 위헌 여부에 대한 심판을 헌법재판소에 요청하는 제도
  • 헌법 제107조 제2항, 헌법재판소법 제41조에 근거

✔️ 당사자가 직접 헌법재판소에 청구하는 것이 아니라, 법원을 통해 제청하는 구조입니다.


2. 청구 요건 및 대상 ✅

항목 요건
청구자 재판에 계류 중인 사건의 당사자
대상 법률 법원이 해당 사건에 적용할 법률 조항
위헌성 사유 헌법상 기본권 침해, 과잉금지원칙 위반, 평등권 침해 등

📌 ‘명령’, ‘조례’ 등은 위헌법률심판 대상이 아니며, ‘법률’만 가능


3. 절차 흐름 🧾

  1. 일반 법원 소송 중 당사자가 위헌심판제청신청서 제출
  2. 법원이 제청 요건을 검토 후 헌법재판소에 송부
  3. 헌법재판소가 위헌 여부를 심리
  4. 위헌 결정 시, 해당 법률은 효력을 상실하며 법원은 적용 불가

4. 헌법재판소 심사 방식 ⚖️

  • 서면 심리 원칙, 필요시 공개 변론 진행
  • 위헌 결정은 재판관 9명 중 6명 이상 찬성 필요
  • 위헌 결정 즉시 효력 발생하며 소급효 여부는 판결에 따라 다름

5. 실제 사례 📑

  • 사례 1: 과태료 이의제기 기간이 과도하게 짧은 조항 → 위헌 결정
  • 사례 2: 양벌규정 적용 시 고의 여부 무관 처벌 조항 → 위헌 판단
  • 사례 3: 이혼 후 자동 친권 박탈 조항 → 헌법상 평등권 침해로 위헌

6. 유의사항 💡

  • 📌 법원이 제청을 기각하면, 당사자는 헌법소원심판으로 대응 가능
  • 📌 위헌심판과는 별도로 형사소송법상 위헌 주장은 재판 내 직접 주장 가능
  • 📌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모든 국가기관을 기속하며 법적 구속력 있음

요약 정리: 위헌법률심판 청구 절차 📋

항목 내용
신청 주체 재판 중인 당사자 (개인, 법인 등)
절차 법원에 제청신청서 제출 → 법원이 헌재에 송부
대상 사건에 적용될 ‘법률’ 조항만 가능
위헌 결정 효과 법률 효력 상실 + 사건 재판 영향

마무리하며 🧭

위헌법률심판은 국민이 불합리한 법률로부터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중요한 헌법적 제도입니다. 만약 재판 중 적용 법률이 기본권을 침해하거나 위헌성이 있다고 판단된다면, 반드시 위헌심판 제청을 검토해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
다음 글에서는 전과기록 삭제 가능성 및 절차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.